오늘보다 더 나은 내일

[수업노트](20.11.02)D+17 font 본문

국비지원 UX UI 디자인/디자인 수업

[수업노트](20.11.02)D+17 font

papiliofly 2020. 11. 8. 00:14
728x90

1. 디자인에 텍스트를 효과적으로 접목시킬 수 있는 방법 (중요도순)
1) 가독성이 좋은 서체를 우선 선정하라 : 긴 문장이 얼만큼 잘 읽히는가 
2) 작업물과 잘 어울리는 형태의 서체를 선정하라.

3) 장식 및 질감처리하라 . (영화/드라마 타이틀링, 북커버 제목, 텍스트 로고 등)
  - 정체성  
  - 주목성, 명시성  
  - 분위기 고조  
  - 직관적인 이해   

2. 디자인에 주로 등장하는 서체 : 산세리프, 세리프 (가독성과 심미성이 뛰어남) 
- 세리프(궁서, 명조 등)  : 전체적으로 곡선을 띄고 있으며, 글자 끝에 장식처리 되어있는 것이 특징이다. 
 ▷ 옛스러운, 전통적인, 격식있는, 우아한, 인간적인, 감성적인, 친숙한, 아름다운, 공포스러운  등 

 ▷  인쇄되어 나오는 활자에서 가독성이 올라가는 편이다(신문, 책)

- 산세리프(고딕, 돋움 등) : 전체적으로 직선을 띄고 있으며, 글자 끝에 장식처리 되지 않은 것이 특징이다. 
 ▷ 기계적인, 체계적인, 중립적인, 기업적인, 현대적인, 세련된, 권위적인 등 

 ▷ 웹에서 보여질 때 가독성이 올라간다.  (웹페이지 )
 ▷ 판독성이 뛰어난 서체이다. 짧은 단어가 얼만큼 잘 읽히는가  (현수막, 버튼)

 - 스크립트 서체 : 손글씨체. 감성적인 분위기를 가장 강력히 어필할 수 있다. 
 ▷  떨어지는 편이기 때문에 장식적으로 처리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. 


※ 커닝 : 영문의 불안정한 자간을 빠르게 교정해줄 수 있는 기능  (개별조정 시 커서 생성 후  alt+좌, 우측키)

 아이콘, 텍스트, 캐릭터 등이 화면에서 강조되지 않을 때에는 스트로크, 드롭쉐도우 처리할 수 있다. 

 경사 앵글 : 화면 자체 또는 물체가 어느 한 쪽으로 기울져 표현된 것을 말한다. 
                  경쾌한, 리드미컬한, 박진감 넘치는, 속도감, 경쟁구도, 긴장감 



3.  정보에 따른 정의 및 시각적인 분류 방법 

 제목 : 작업물에 대한 설명을 짧고 임팩트있게 전달하는 말 
 - 글자 중 가장 크게 
 - 글자 중 가장 두껍게 
 - 글자 중 가장 선명한 색상 

 부제목 : (제목의 절반 사이즈 + ~ -) 제목만으로 완벽한 설명되지 않을 때 따라붙는 부연 설명 글 
 - 제목보다 작게
 - 제목보다 얇게
 - 제목보다 옅은 색상 

  내용 : 작업물의 전체 설명 들어가 있는 장황한 글 
- 9pt~ 12pt : 많은 양의 글자는 작게 처리되어 한 눈에 들어와야만 가독성이 올라가기 때문 
- 커서+ ctrl+A : 보이지 않는 글자 까지 모두 드래그 

 패스 패널에서 패스 레이어를 선택 영역으로 전환하는 방법 
- ctrl+ 썸네일 클릭 : 영역 전환 
- ctrl+shift+썸네일클릭 : 영역 추가 전환 
- ctrl+alt+썸네일클릭 : 영역 부분 해제 


 선택영역 + 레이어마스크 : 영역 보호 

 선택 영역 + 레이어마스크 + 반전씌우기 : 영역 지워짐 

alt+레이어마스크 적용 : 레이어마스크 반전 씌우기 


 블렌딩모드 : 상위 레이어와 하위 레이어를 음영 및 색상 합성해줄 수 있는 기능이다. 
- 이때 하위 레이어가 너무 밝거나 흐릿한 상태를 가지면 명확한 모습을 가지고 블렌딩모드 합성되지 않을 때가 많다. 
- 하위 레이어 어둡고 선명하게 만들어 작업 해결할 수 있다. 
*블렌딩모드 표현 생각보다 과장되거나 감소된 표현 나올 때에는 이미지의 음영 조절하여 원하는 모습 띌 수 있도록 조정가능하다.
*레이어 마스크는 이동 복사 덮어씌우기 가능하다. 
- 이동 : 일반 클릭 드래그 
- 복사, 덮어씌우기 : alt+ 이동 

728x90