오늘보다 더 나은 내일

[수업노트](20.10.16)D+6 type tool/타입툴 이용하여 텍스트 편집하기 본문

국비지원 UX UI 디자인/디자인 수업

[수업노트](20.10.16)D+6 type tool/타입툴 이용하여 텍스트 편집하기

papiliofly 2020. 11. 7. 19:08
728x90

1. shape tool (U)


 - 모양 편집 후 패널 안쪽에 등록시킬 수 있다. 
ㄴ> 모양 만들 때에는 패스로만 구성 되어있어야 등록 가능한 상태가 됨
- 패스 오퍼레이션 또는 얼라인 위해서는 작업 할 패스 또는 쉐입이 패스 선택툴로 모두 선택되어 있어야한다. 
- 패스와 쉐입은 바운딩박스 띄워 변형 가능함
- 패스를 쉐입으로 등록하는 방법 
1) 패스를 작업자 스타일에 맞춰 구성하여 만든다 
2) 상단메뉴 - edit- define custom shape
 
- 레이어 별로 따로 떨어져 작업된 쉐입들은 이동툴로 관리하면 된다. 
- 패스 셀렉션툴 이용하여 선택된 쉐입 또는 패스를 잡아 이동 복사 

- 이동 복사 : alt+이동 
- 수평 수직 이동 복사 : alt+ shift+ 이동 

 

- 쉐입, 패스 이용하여 글자 적는 방법  : 패스 지정 후 타입툴을 패스에 클릭하면 패스따라 글자 기재할 수 있다. 
▷ 광고 목적으로 글자 기재할 때 크게 사용 함 
타입툴로 기재한 텍스트 레이어는 벡터의 성질을 갖고 있기 때문에 쉐입에게 설정할 수 있는 옵션 또는 일반적인 픽셀 이미지에게 적용할 수 있는 기능이 적용되지 않음 
rasterize타입 > 텍스트 레이어를 일반적인 이미지 레이어로 전환
 convert to shape > 쉐입 레이어로 전환 


2. type tool (T)

1) 포인트 타입 : 타입툴로 화면을 클릭하여 커서 생성 후 글자 기재할 수 있는 방식이다. 
- 엔터를 눌러야만 행이 다음 줄로 넘어간다. 
- 짧은 문구, 제목, 장식문구와 같은 글자 기재시 사용할 수 있다 
(바운딩박스 등 여러가지의 변형 작업 등을 편리하게 실행할 수 있기 때문에)
- 커서 비활성화 : ctrl + enter

2) 패러그래프 타입 : 클릭 드래그하여 텍스트박스 생성 후 제한 된 공간 안에서 글자를 기재하는 방식 말한다. 
 - 글줄 바꾸지 않아도 텍스트가 박스 끝에 닿으면 알아서 행이 넘어감 
 - 긴 문장 작업시 수월한 수정 위하여 작업하는 방식이다. 

3) 캐릭터패널  (ctrl+T)
- 글자에 대한 간단한 설정부터 세부적인 설정까지 할 수 있는 패널이다. 
- 글자 간격 및 비율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가독성과 심미성에 대한 관리할 수 있다. 
- 글자 사이즈 단축키 : ctrl+shift+alt+ ,  /  .

728x90